[해외정책자료] '시민사회전략:모두를 위한 미래 건설하기'(영국)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8.09.04 / 수정일 : 2023.03.31

영국 정부에서 발행한 <시민사회전략>보고서를 소개합니다. 본 보고서는 영국 정부가 어떻게 시민사회의 힘을 기르고 지원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각 섹터에서 어떤 것을 해야 한다고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사회의 가능성을 이루기 위해 정부는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는 ‘잘 연결되어 있는 커뮤니티, 더 많은 이웃, 사회를 통합시키는 비즈니스를 가진 영국’이라는 비전을 이루기 위해 각 섹터에서 어떤 역할을 나눠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에 대해 계획을 세웠습니다. 본 보고서에서는 사람, 지역, 시민사회, 개인, 공공영역 5개 부문에 걸쳐 각각 이것이 왜 중요한지, 정부는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와 사례연구를 소개합니다.


시민 사회 전략 : 모두를 위한 미래 건설



○ 발행연도_2018년 8월, 
총 123 쪽
​ 원문보기 및 다운로드 ▷바로가기
 


Chapter 1. PEOPLE: enabling a lifetime of contribution
개인의 자선활동은 튼튼한 사회의 기반, 사람들이 서로 연결되고 공동체에 기여하도록 돕기

Chapter 2. PLACES: empowerment and investment for local communities
지역사회에 대한 권한 부여와 투자

Chapter 3. THE SOCIAL SECTOR: supporting charities and social enterprises
소셜섹터, 자선단체와 사회적기업 지원하기

Chapter 4. THE PRIVATE SECTOR: promoting business, finance and tech for good

Chapter 5. THE PUBLIC SECTOR: ensuring collaborative commissioning



 머릿말

 이 보고서는 정부가 시민조직 강화를 돕기 위해 제작 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새로운 기술과 업무방식이 우리의 삶에 위협과 동시에 새로운 가능성이 되고 있는 순간에 대한 대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래의 위협과 기회를 만나기 위해, 우리 커뮤니티에 더 많은 자유와 책임을 부여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시민사회가 그 중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시민사회가 겪고 있는 모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시민사회는 놀라운 일을 하고 있으며 그 범위와 영향력 면에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도전들은 공공서비스와 비지니스, 커뮤니티를 결합시기는 방법을 통해 해결되고 있습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영국 시민들의 참여 덕분입니다. 우리는 자선활동과 자원봉사에서 세계적으로 높은 성적표를 받고 있습니다. 영국은 혁신적인 사회금융에서 세계적 리더이며, 청년들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일을 하길 원합니다. 기업들은 단순히 이익을 주주들에게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가치를 전달하는 기업의 원래 목적을 재발견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서로 연결된 커뮤니티, 이웃과 사회를 통합시키는 비지니스를 가진 영국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은 강한 커뮤니티를 가능하게 합니다. --<중략>--
 이 보고서의 목적은 정부가 어떻게 영국 시민사회의 힘을 기르고 지원할 것인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미래를 위해 당신이 걷는 과정이 바로 당신이 갖게 될 미래'라고 말한 시민사회 리더의 말에 동의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미래는 협업과 공동창조입니다. 그러므로 이 보고서는 우리가 다가오길 바라는 '공동창조된 시민사회에 대한 정부의 기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문 중






이 자료·정보는 도움이 되셨나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어떤 정보가 있으면 좋겠다는 요청도 좋습니다! 도움되는 아카이브, 유용한 아카이브를 만드는데 많은 도움이 된답니다 :) *영문자료의 번역본이 필요하시면 댓글로 요청을 남겨주세요. 요청이 많은 자료는 번역을 추진하겠습니다.

 

첨부파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8.09.04 / 수정일 : 2023.03.31 / 조회수 : 18153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