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자료] P2P펀드레이징가이드 1
현안과이슈 / by 신열매 / 작성일 : 2018.10.28 / 수정일 : 2023.03.28

펀드레이징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는 Peer-to-Peer 펀드레이징이라고 하는 일종의 크라우드펀딩입니다. 전통적인 크라우드펀딩과 달리 P2P 펀드레이징은 당사자들이 자신의 기금 모금 페이지에서 직접 모금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펀딩을 하려는 사람들은 자신의 친구나 서포터즈들에게 펀딩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진행상황을 바로바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펀딩의 도달범위도 더 넓습니다. 
펀드레이징의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P2P 펀드레이징, Top Nonprofits가 DonorDrive(P2P 펀드레이징 소프트웨어)와 함께 만든 P2P 펀드레이징 가이드를 통해 좀 더 P2P 펀드레이징의 이해를 높여볼까요? 


▷ 다음 링크의 글을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https://topnonprofits.com/guide-to/p2p-peer-to-peer-fundraising/
(2023년 1월 기준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P2P 펀드레이징 가이드는 6개 파트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파트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Part 1: P2P 펀드레이징 참여자 및 기부자 이해하기
Part 2: P2P 펀드레이징 참여를 위한 최초 참여자의 관심 유도
Part 3: 모든 사람들을 위해 P2P 펀드레이징을 쉽고 재미있게 만들기
Part 4: 팀 펀드레이징 - P2P 펀드레이징이 팀 활동으로 더 좋은 이유
Part 5: 참여자 유치(떠난 참여자 재유치하기)
Part 6: Zero-Dollar 펀드레이저 활동


이번 글에선 펀드레이징 참여자/기부자를 이해하는 단계(Part 1)에서부터 펀드레이징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만들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Part 3)까지 살펴보려 합니다. 


Part 1 : P2P 펀드레이징 참여자 및 기부자 이해하기


P2P 펀드레이징을 계획할 때 오디언스는 누구인지, 그들과 접촉할 가능성이 높은 이들(=잠재적인 기부자)은 누구일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구통계 자료를 살펴보는 것도 유용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나이, 성별, 사회경제적 지위라는 3가지 기본요소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아래 3가지 사항을 살펴보려 합니다. 

- 원인과의 관계

- 우리 조직과 그 업무에 대한 지식

- P2P 여정에서의 현재 단계(잠재적 관여자 -> 숙련된 리더)



1)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사람(예: 암 투병 중이거나 완치된 사람)

- 해당 상태에 있어나 완화됨
- 우리 조직의 서비스에 대한 직접적인 클라이언트/수혜자
- 사람들이 자신의 기억 속에서 특정한 그 원인을 계속 가져가기 때문에 어떤 임팩트가 후에 생길 수 있음

2) 가까운 친구 또는 친척(간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사람)
- 배우자
- 부모/자식/형제자매
- 가까운 친구
- 가까운 동료
- 우리 조직의 직원/정규 자원봉사자

3) 알고 있는 사람
- 먼 친척
- 지인
- 친구의 친구
- 직장에서 알고 지내는 사람

4) 관련된 원인에 대한 서포터즈
- 설득력 있는 원인이 있을 경우 기꺼이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이들
- 관련된 원인과의 연관성(예: 다른 형태의 암이 있었으며 완치된 사람)
- 친구의 요청으로 참여하지만 개인적 연결고리는 없는 사람
- 후원사의 직원들

5) 원인과 관련 있는 소비자(다른 그룹과 중복될 수 있음)
- 어떤 원인을 재미(fun)와 결합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
- 타인에게 자신에 대한 깊은 인상을 심으려 하는 사람들(소셜미디어 팔로워 등)
- 모험을 찾는 사람들
- 관심/취미/목표가 일치하는 사람들

6) 참여를 꺼리는 사람들
- 원인과 관련이 없는데 동료 집단의 압력을 받는 사람들
- 원인에 대해 신경을 쓰지만 사건에 대해선 신경쓰지 않는 사람들
- 원인에 대해 관심을 갖지만 기부 요청을 꺼려하는 사람들



Part 2 : P2P 펀드레이징 참여를 위한 최초 참여자의 관심 유도

1) 처음 참여하는 사람들을 유치할 때 겪는 일반적인 도전과제

- 사람들은 바쁘다
- 우리는 정보과부하가 일반적인 세계에서 살고 있다
- 많은 사람들이 미리 약속 하는 것에 주저한다
- 선의를 가진 많은 사람들은 쉽게 주의를 다른 곳에 돌리거나 잘 잊어버린다
- 알 수 없는 것에 대한 두려움
- 불편한 것에 대한 두려움
- 사회적 압력/조작에 대한 두려움
- 인지된 쿨 팩터(cool factor)의 부족

- 선택할 수 있는 '좋은 원인들'이 너무 많다

2) 시간의 우선 순위를 정할 것
현재 서포터즈들로부터 시작한다

- 팀원들의 힘을 활용해 모집한다
- (펀드레이징 모집에 주력하는)고도로 관여된 자원봉사자들을 육성한다
- 커뮤니티 및 미디어 파트너들을 찾는다

- 정직한 성장의 목표를 설정한다

3) 커뮤니케이션 계획을 세울 것
- 사람들에게 의미있는, 그리고 재미있는 어떤 일의 일부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사람들을 초대한다

- 명확하고 간결하게 커뮤니케이션한다.
-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시간대를 활용해 여러 지점에서 만날 수 있도록 계획한다.
- 펀드레이징의 다음 단계를 생각한다.

- 페이스북과 구글 타켓팅을 활용해 웹사이트 방문자들을 재타겟팅한다.


Part 3 : 모든 사람들을 위해 P2P 펀드레이징을 쉽고 재미있게 만들기
아래의 그림에서 맨 왼쪽의 경우가 P2P 펀드레이징에 이제 막 참여한 사람이라고 한다면, 맨 오른쪽의 경우는 숙련된 활동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사이에 어떤 단계들이 있을까요? 누군가는 숙련된 활동가로 나아가는 반면, 다른 누군가는 어느 특정 단계에 머물러 있다면 혹은 이탈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작성자 : 신열매 / 작성일 : 2018.10.28 / 수정일 : 2023.03.28 / 조회수 : 15598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