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리즈 1] 대AI 시대의 도래. 비영리 영역에서의 AI 활용은 선택일까? 아닐까?
활동사례 / by 얼대왈 / 작성일 : 2024.05.15 / 수정일 : 2024.05.16

이번 AI 시리즈는 1인 비영리 단체를 운영하는 상황에서 우연히 AI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만들게 되면서 제작의 배경과 사례 등을 담아보는 시리즈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현재는 활발하지 않지만, 점차 비영리 영역, 특히 중소형 비영리 기관이 AI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는 한정된 예산으로 할 수 없었던, 어렵던 부분을 시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 사례를 차차 소개하겠지만, 저 역시도 한정된 예산으로 인해 포기하려던 콘텐츠 제작과 프로젝트를 생성형 AI를 통해 만들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부분과 영역으로 AI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Q1. AI? 요즘 많이 보이긴 하던데?

- AI 기술이란 쉽게 말해 인공지능입니다. 좀 더 자세한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간의 인지·추론·판단 등의 능력을 컴퓨터로 구현하기 위한 기술 혹은 그 연구 분야 등을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컴퓨터와 같은 기계는 인간에 비해 제어, 연산 등의 능력이 뛰어나지만, 사람이 가지고 있는 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인지·추론·판단 등의 능력은 가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사람 고유의 능력을 컴퓨터에서 구현해 보고자 시작된 것이 인공지능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AI

 

그리고 작년부터 두각을 나타내는 부분은 생성형 AI입니다. 생성형 AIAI를 통해 이미지와 영상, 글 등을 생성하는 AI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챗GPT입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을 하자면 생성형 AI란 대화, 이야기,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 새로운 콘텐츠와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는 AI의 일종입니다. AI 기술은 이미지 인식, 자연어 처리(NLP), 번역처럼 새로운 컴퓨팅 작업에서 인간 지능을 모방하려고 시도합니다. 그래서 생성형 AI는 인공지능의 다음 단계입니다. 인간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 예술, 화학, 생물학 또는 복잡한 주제를 학습하도록 AI를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AI는 학습 데이터를 재사용하여 새로운 문제를 해결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 어휘를 학습하고 이를 처리하는 단어로 시를 지을 수 있습니다. 귀사 조직은 챗봇, 미디어 생성, 제품 개발과 설계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생성형 A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아마존

 

Q2. , 그럼 많은 것이 바뀌는 것 아니야?

- 산업혁명 이후 최대의 변화를 만들어 낼 것으로 예측되는 AI 기술에 대한 뉴스와 콘텐츠를 조금 과장하자면, 한 시간에 한 번 이상 보고 듣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AI는 현시대의 주요 키워드입니다. 우리는 이미 실생활에서 AI가 우리의 생활 속에 있음을 알게 모르게 경험하고 있습니다. 유튜브의 숏폼 콘텐츠와 광고가 가장 일반적인 예시지만, 다양한 공공기업을 비롯한 대기업의 홈페이지에 있는 챗봇, 영상 제작, AI가 탑재된 핸드폰, 얼굴 인식, 그리고 AI를 활용한 금융투자회사까지 생각보다 빠르고 다양하게 AI 기술이 산업들과 접목되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AI 산업을 이끌고 있는 MS와 엔비디아의 주가는 신기록을 경신하였고, 국내에서도 네이버와 카카오 등이 AI를 활용한 기술과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의 20239월 공공부문 AI 활용 현황 실태 조사에 따르면, 이미 국내 공공부문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곳이 400개 중 55%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국내외를 막론하고 AI 기술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 스마트폰이 출시된 이후 많은 산업과 문화, 인식이 바뀌는 것을 우리와 전 세계가 경험하였습니다. 그리고 지금 스마트폰보다 더 큰 변화를 만들어낼 기술로 보고 있습니다(이상의 AI 기술에 대한 전망과 활용 부분에 대해서는 매체와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현재 유튜브와 카카오톡, OTT 사용이 일상이 되게 만든 스마트폰을 놓고 피처폰을 사용하는 세상을 상상하지 못하듯, 이내 AI 기술이 일상적인 세상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비영리영역에서도 AI 기술과 활용에 대해 배타적인 태도보다는 적극적인 태도로 다가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본문에 삽입된 그림은 AI를 활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이하 참고 자료 및 링크

1. 공공부문 AI 활용 현황 실태 조사

- 출처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공공부문 AI 활용 현황 실태 조사, 2023.09.22., 남현숙 연구원, 안미소 연구원

- 출처 링크 : https://spri.kr/posts/view/23653?code=data_all&study_type=research
 

2. AI 기술의 정의 

- 출처 : 네이버 백과

- 출처 링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6027&cid=40942&categoryId=32845

 

3. 생성형 AI

- 출처: 아마존 웹 서비스

- 출처 링크: https://aws.amazon.com/ko/what-is/generative-ai/





작성자 : 얼대왈 / 작성일 : 2024.05.15 / 수정일 : 2024.05.16 / 조회수 : 38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