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새로운 흐름 ① '사회적 농업' 이란 무엇인가?
현안과이슈 / by 종합재미상사 / 작성일 : 2018.06.27 / 수정일 : 2023.03.24

 

 *이 자료는?  사회적 농업의 개념과 국내외 사례를 볼 수 있는 자료


 *이 자료를 모은 이유는?  사회적 농업은 현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생산성과 효율성이 아닌 치유와 돌봄의 가치에 중심 두고 있으며, 소외된 사람들을 감싸 앉는 전통적인 농업 문화의 기능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목적 자체로 공익적인 사회적 농업에 대해 이해하고 여러 사례를 접함으로써 또 다른 공익활동에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 정보가 필요한 사람은?  사
회적 농업에 대해 알고 싶거나 공익활동과 연계 해보고 싶은 사람​


사회적 농업의 개념 미리보기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21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 제2부 농촌의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농업’ 에서
'사회적으로 배제된 이들을 사회 안으로 끌어안는 농업 실천'
'개성화된 그리고 자율적인 주체들 사이의 대등한 가치부여를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관계의 전제인 사회적 연대(악셀 호네트,2011: 248)를 실현하는 농업'
'급여를 받는 노동을 수행할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 (가령, 지적 신체적 장애인, 재소자, 약물중독자, 소수자, 이주민 등)의 통합을 지향하거나, 불리한 여건에 있는 사람들의 재활, 교육, 돌봄을 촉진하거나, 아동이나 노인 등 특정한 집단에 대해 농촌 지역에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지닌 농업 실천'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사회적 농업 : 패러다임의 전환’ 에서
'사회적 농업(Social Farming: SF)에 관한 공식 정의는 존재하지 않으나, 농업의 다원적 기능(Multifunctionality)에 기반을 둔 다양한 사회적 서비스를 취약계층에 제공하는 농업'


 관련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www.krei.re.kr/

- 사회적농업 :패러다임의 전환 (2017.01.06.)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039

[목차]
1.사회적 농업의 정의와 배경 
2.사회적 농업의 현황과 특징(유럽과 한국의 사례), 
3.사회적 농업관련 이론
4.사회적 농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와 정책 과제
5.요약 및 시사점  

- 제21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자료집 (2017.11.30)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408?mode=full

[목차]

1부 주제발표
제1주제: 농촌 신활력 플러스 추진방안
제2주제: 신활력사업의 성과와 한계, 농촌 신활력 플러스의 과제
제3주제: 산림자원에서 농업의 해법을 찾다!(함양산삼항노화 산업화 사례)
제4주제: 지역순환농업과 신활력사업 추진사례

2부 주제발표
제1주제: 사회적 농업 확산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연대 전략과 과제
제2주제: 농촌 지역 사회적 경제발전 전략

1부 종합토론
지역의 뿌리산업을 위해 신활력 플러스 사업의 어떤 Input을 할 것인가

2부 종합토론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농업에 대한 논의

-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방향 (2017.12.30.)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325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사회적 농업 논의의 지형: Q방법 조사 결과
제3장 외국의 사회적 농업 실천 사례와 정책
제4장 한국의 사회적 농업 실천 사례
제5장 결론: 사회적 농업 정책의 방향

▷ 모심과살림 9호 사회적 농업, 농촌의 새로운 가능성  http://www.mosim.or.kr/magazine_past/1431

농업은 본디 사회적이지만, 특별히 ‘사회적 농업’이라는 말을 쓸 때는 범위를 한정하지 않을 수 없다. 완벽하게 합의된 정의는 없지만, 사회적으로 배제된 이들을 사회 안으로 끌어안는 농업 실천을, 즉 사회 통합social inclusion을 지향하는 농업 실천을 일컬어 사회적 농업이라 한다. 달리 말하면 “사회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놓인 지적·신체적 장애자, 재소자, 약물 중독자, 농촌 지역의 어린이·청소년·노인 등을 대상으로 치료, 재활, 사회통합social inclusion, 교육, 돌봄 서비스 등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식물이나 동물 등의 농업 자원을 활용하는 활동이다.”2) 이를 다시 구분하면, 가령 일자리가 없는 이를 농장에서 고용해 영농에 종사하게 하는 실천을 ‘노동통합 사회적 농업’이라 하며, 정신적·신체적 장애가 있는 이에게 농업의 치료적 요인과 결합된 돌봄care 및 치료theraphy 서비스를 농장에서 제공하는 실천을 ‘돌봄 사회적 농업’이라 한다. 직업이 필요하지만 기술·지식 등 능력이 부족한 이에게 혹은 농업이나 농촌을 접한 적이 없는 도시의 아동·청소년 등에게 농사를 가르쳐 직업을 얻거나 농업·농촌을 포함한 전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제 역할을 하게 돕는 실천은 ‘교육 사회적 농업’이라 한다.  <링크 본문 일부 발췌> 

​ 농정연구센터 http://www.farp.info/

[목차]

[책머리에] 다기능 농업의 확산을 위해 / 황수철
[특집]
(좌담)사회적 농업의 의의와 정책방향    
유럽의 사회적 농업 / 이정해     
일본의 사회적 농업 / 코시바유리에 외, 홍지영(역)   
[논단]
돌봄의 공동체 그리고 돌봄의 녹화 / 안병은     
[현장] 
느리게 함께 가는 곳, 여민동락공동체 / 박윤지·유리나    
독일의 사회적 농업 사례 / 정상택    
[자료] 
독일 바이에른 주의 사회적 농업 지침서 / 강동규(역)    


Care farming: an innovative approach for promoting women’s economic empowerment, decent rural employment and social inclusion.

유럽의 맥락에서 치유농업은 여성농부가 자기 자신을 고용하는 방식으로 시작되는 농장의 경제 다양화 전략이다.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심한 지역의 다른 여성들에게 무보수 돌봄노동에 쓰이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지역의 다른 여성들에게 경제활동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대안적인 고용기회를 제공한다. 동떨어진 시골지역에 필수적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시골 지역의 인구감소를 막는 효과가 있다. 
치유농업은 소외된 사람들이 가진 잠재능력에 집중하고 높이 평가함으로써, 그들이 의미 있고 생산적인 일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가치 있는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사람들은 정원사나 농장 일꾼으로서의 정체성과 업무 능력을 개발하고 목적의식과 자존감, 존엄성을 되찾는다. 더불어, 자연환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그 사람들의 건강과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문 일부 발췌 번역>


 관련 기사

▷ 한국영농신문 “농업이 품은 보석, 사회적 농업과 치유농업”

​ Sciencetimes ‘생산적 농업’에서 ‘사회적 농업’으로

​ 농민신문 기획연재
-‘농업 활용’ 교육·일자리 제공…사회적 농업 본격 추진 https://www.nongmin.com/article/20180303287606
-사회적 농업 해외 사례는? 돌봄·고용 수단으로 인식 https://www.nongmin.com/article/20180303287607
-사회적 농업 국내 사례는? https://www.nongmin.com/287608

팜인사이트 “100대 국정과제 사회적농업 본격 추진”


※연속물 

농업의 새로운 흐름 ① '사회적 농업'이란 무엇인가? 




 


작성자 : 종합재미상사 / 작성일 : 2018.06.27 / 수정일 : 2023.03.24 / 조회수 : 36051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