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도구] 공공 공간 만들 때 꼭 거쳐야하는 5단계
실무도구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06.07 / 수정일 : 2019.06.07

바람직한 공공 공간을 주제로 프로젝트가 꼭 지켜야할 11가지 원칙공간 평가 방법그리고 바람직한 공공 공간을 평가하는 지표(123)를 소개하였습니다우리 지역에 있는 공공 공간을 바람직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할까요이번 포스팅에서 프로젝트를 진행 순서와 각 단계에서 꼭 알아둬야 할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원문 바로가기

 

<공간 만들기 (Placemaking)>은 공공 공간을 바람직하게 만드는 생각임과 동시에 수행 과정입니다. <공간 만들기>는 특정 공간에서 지내고, 일하고, 즐기는 사람들을 관찰하고, 이들의 목소리를 들으며, 질문하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시민들이 공간, 더 나아가 자신들이 속한 지역공동체에 대해 가지는 필요감, 바람, 희망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입니다.

 

소개할 <공간 만들기> 절차는 1) 공간 재활용 프로젝트, 또는 2) 새로운 공간 만들기 등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 지역마다, 공간마다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똑같이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래에 소개할 5단계는 바람직한 공공 공간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더 많은 주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Image by PPS

<
공간 만들기 5단계>

1. 공간 정의하기 및 관련 이해관계자 찾아내기

2. 공간 평가하기 및 관련 이슈 찾아내기

3. 공간이 변화될 모습 그리기

4. 단기 실험하기

5. 프로젝트 공간 과정 평가하기 및 장기적 개선 과제 수행하기 

 

바람직한 공공 공간을 향한 <공간 만들기>의 첫 발을 내딛어 볼까요?

 

1. 공간 정의하기 및 관련 이해관계자 찾아내기

Define Place & Identify Stakeholders

 

알맞은 공간과 알맞은 이해관계자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공간 만들기>는 공공, 민간, 행정 영역의 관계자들이 일단 만나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공간을 둘러싸고 각기 다른 각 그룹의 사람들이 직면한 문제 등을 찾아내고, 이 문제 해결 노력을 펼칠 적절한 공간을 찾아내기 위해서입니다.

이 협력 과정에서 자신의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목록화 하고, 정리하고, 분류하는 작업을 반드시 진행해야합니다.

 

이해관계자의 참여 및 구성을 고려할 때 반드시 답해야 할 질문 네 가지 

1. 해당 공간의 변화에 관심 있는 사람이 누구인가?

2. 관심이 있는 관련자가 어떤 식으로든 자신의 재원 또는 재능을 사용하면서 참여할 의지가 있는가?

3. 프로젝트 대상 공간 개선을 위해 사용될 재원을 가지고 있는가?

4. 프로젝트 대상 공간을 장기적으로 운영/관리할 수 있는 조직/기관/기구가 있는가? 

 

Image by PPS
 

2. 공간 평가하기 및 관련 이슈 찾아내기

Evaluate Space & Identify Issues

 

두 번째 단계의 주요 할 일은 어떻게 공간이 사용되는지,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깊이 검토해보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이전에 소개드린 공공 공간 평가툴인 <공간 게임>을 활용해서 프로젝트 대상 공간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가지고 평가결과 공유 워크샵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어렵게 접근하기 보다는 재미있고, 서로를 알아가며, 공간 기능에 대한 아이디어를 찾는 과정으로 여기는 것이 더 생산적인 워크샵을 만듭니다.

명심하세요. 평가 워크샵의 핵심목표는 공간과 공간과 얽힌 도전과제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입니다.

 

평가결과 공유 워크샵을 구성할 때는 반드시 소규모 지역 단위로 구성해야 합니다. 만약 그렇기 어렵다면, 직접적인 지역 관계자가 포함되도록 구성해야합니다. 이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평가결과 공유 워크샵은 보통 2~3시간이 적절합니다. 그리고 워크샵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프로젝트의 목적을 공유하세요. 그리고 각 워크샵 참여자가 자신의 평가 과정이 어떠했는가를 가볍게 이야기하면서 공유하세요. 처음부터 깊고 복잡하게 이야기하기보다 친해지는 속도에 맞춰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워크샵에서 공유된 내용이 참여하지 않은 이해관계자와도 공유되어야 합니다.

 

구체적인 문제가 밝혀지면, 그 문제를 집중적으로 해결할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는 것이 이번 두 번째 단계에서 진행되는 일입니다.

 


Image by PPS

3. 공간이 변화될 모습 그리기

Place Vision

 

세 번째 단계는 공간의 비전, 즉 공간이 변화될 모습을 그리는 단계입니다. 공간 평가결과 워크샵을 통해서 도출된 내용으로 공간의 비전을 그려야합니다.


공간의 비전은 아래의
7가지 사항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최종 목표를 위해 할 미션

A mission or statement of goals

이해관계자 간에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비전을 위한 미션에 필요합니다.

 

공간이 향후 어떻게 사용될지누가 사용할 지에 대한 약속된 정의

A definition of how a space will be used, and by whom

대상 공간의 특성이 관련된 사람들의 목표와 조응해야합니다.

 

대상 공간이 의도하는 특성에 대한 기술

A description of the intended character of the space

공간이 향후 어떠해야 할지에 대한 생각이 분명해야지 공간의 비전이 뚜렷해질 수 있습니다.

 

대상 공간이 어떻게 설계될 수 있을지에 대한 개념도

A concept plan for how the space could be designed

초기 구상이 잡히면, 1) 실현 가능성 2) 프로젝트 수행에서 예상되는 부정적인 장애 요소 등을 규명해야 합니다.

 

대상 공간과 유사한 공간에서 진행된 성공 사례

Successful examples of similar spaces or parts of spaces

 

단기/장기 개선 활동 행동계획

An action plan for short-term and long-term improvements 

 

주의사항

비전 구상 단계에서는 반드시 실제로 공간을 운영/관리할 조직이 확정된 상태에서 진행돼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 구체화된 내용들은 실제 운영과정에서의 업무와 깊이 관련되어야 공간의 장기적 개선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절대 가정을 하고 기술하면 안됩니다.

 


Image by PPS

4. 단기 실험하기

Short-term Experiments

 

단기 실험은 공공 공간 만들기 프로젝트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입니다. 바로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바람직한 공공 공간은 하룻밤사이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공간에 얽힌 숙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없습니다. 바람직한 공공 공간으로 성장하려면 실행과 평가를 자주 반복하고 지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가볍게, 더 신속하게, 더 저렴하게자주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세 번째 단계에서 그려낸 공간에 대한 비전과 관련된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면, 주저하지 말고 바로 시행하고 평가해봐야 합니다.

 

많은 형태의 실험이 있겠지만 주로 활용되는 실험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편의시설 Amenities

공간에 존재하는 편의시설은 공간에 대한 안락함·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활동을 촉진하는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방법입니다예를 들어 움직일 수 있는 의자도서 대여시설놀이 대여시설화분 등 간단하지만 저렴한 편의실설을 설치해볼 수 있습니다.

 

공간 내 이벤트 Programming

공간에서 규칙적으로 벌어지는 이벤트는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고공간이 있는 지역의 특색을 북돋아 주며예상하지 못한 협업을 조성합니다일회성 행사일지라도 지역공동체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험해보고공동체가 공유하는 공간의 상을 함께 맞춰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가볍고 쉬운 개선작업 Light Development

임시 구조물 설치 또는 간단한 개선 작업이 비용을 많이 사용해야하는 건축물 설치보다 효과적입니다예를 들어 주변 건물의 외관을 깨끗하게 하거나그늘막접이식 의자차양막 등 가벼운

설치로도 충분히 효과적인 개선이 가능합니다. 



Image by PPS
 

5. 프로젝트에 대한 과정 평가하기 및 장기적 개선 과제 수행하기

Ongoing Reevaluation & Long-term Improvement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프로젝트 기간이 끝나면
, 공공 공간 개선이 완료된 것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프로젝트 기간이 끝난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공공 공간 만들기는 시작합니다.


성공적인 공공 공간을 만드는 과정은 지속적인 실험과 시행 착오, 그리고 보완의 과정입니다. 시점을 정하고 연 단위, 특정 시점 단위 등 정기적인 평가를 수행하면서 개선 작업을 계속해야합니다.

 

이러한 정기적으로 수행되는 평가와 평가를 통해 얻은 정보를 활용해서,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불편함, 불쾌함을 제거하고 개선하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또한 장기적인 차원에서 공간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를 지속적으로 연관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공간을 둘러싼 환경, 조건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지켜보면서 그러한 변화에 공간을 맞춰가는 것이 오랫동안 사랑받는, 사람들이 자주 찾는 공간으로 만드는 비결입니다.

 

Image by PPS

위의 글은 <공간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방법 (개정판), How to Turn a Place Around>의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

 

아카이브 내 관련 글

[실무도구] 바람직한 지역공동체의 공공 공간 창출을 위한 11가지 실행 원칙 해당글 바로가기 

[공용 공간 활용도 평가툴] <공간 게임> 지역공동체 주민을 공간전문가로 만드는 방법 해당글 바로가기 

[공공 공간 평가지표]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을까요? - 1공간 내 사람 간 애착 표현(Affection)” 지표 해당글 바로가기

[공공 공간 평가지표]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을까요? - 2공간 내 무의식적 안락함 표현(Comfort)” 지표 해당글 바로가기

[공공 공간 평가지표]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을까요? - 3공간 내 즉흥적 표현(Improvisation)” 지표 해당글 바로가기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06.07 / 수정일 : 2019.06.07 / 조회수 : 19321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